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OP TOP
사업현황

고객이 최대한 만족하는건설서비스, 하이텍코리아가 만들어가겠습니다.

가설교량신기술공법(TRM)

(건설신기술 제1017호, 재난안전신기술 제2018-1-6호)

공법 개요

  • 주형 거더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L형강을 보강하여 거더 성능향상으로 장지간을 구현한 가설교량 공법
  • 선택적(부분) L형강 보강으로 강성증대 뿐만 아니라 상 · 하연에 균등한
    응력 분포 유도로 전체 내하력 향상에 따른 구조 안전성 확보
  • 선택적 보강을 통한 부재 효율성 극대화 및 합리적인 경제성 확보

공법 특징 요약

  • 시공성

    특별한 공정 없고 설치 방법이 단순하여
    시공성 및 현장 공기단축 가능
    주요 공정의 공장제작으로 고품질 확보

  • 안정성

    다수 실내 및 현장 시험을 통해 성능 확인,
    재난안전신기술 제2018-1-5호 인증
    프리스트레스 도입 및 선택적 보강에 따른
    공용중 내하력 극대화로 구조 안전성 및 진동 저항성 우수

  • 환경 및 유지관리

    별도의 인장재 불필요로
    공용중 유지관리 용이

  • 경제성

    선택적인 보강 및 장지간 구현으로
    강재량 최적화(절감)에 따른 공사비 절감

  • 현장 적용성

    공사용, 우회용, 긴급복구용, 인도교 등
    50여개의 실적 보유

공법 특성

주형거더에 프리스트레스 도입(선행하중)으로 거더 성능 개선

  1. 01
    선행하중 도입
  2. 02
    보강재 설치
  3. 03
    선행하중 제거
  4. 04
    사용하중 발생

TRM 공법 기술검증

실내 시험

정격하중 1,000kN인 Actuator를 이용하여 정·동적 재하시험 수행 (TRM 시험체_H : 588X300X12X20 / L : 100X100X10)

정적 재하시험

단계별 정적하중 재하에 따른 정적 거동분석

동적 재하시험

동적가진 하중에 따른 동적 거동분석 (동적 응력 및 변위)

현장 재하 시험

게이지 부착(변형률)

게이지 부착 전경(변형률, 처짐)

하중 재하

재하 시험

TRM 가설교량 수치해석

범용해석프로그램인 LUSAS 15.2 이용 변위와 응력 모두 안전률 확보 확인

TRM 공법 적용 범위

적용범위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오차가 적고 설치 속도가 빠름 긴급 재해 복구 가설교량으로 적합

통수단면적 확보와 홍수로 인한 재해 예방이 필요한 현장 형고가 낮고 하부에 별도의 인장재 설치가 없어 형하공간 확보에 유리

교통 통제로 인한 민원이 에상되는 도로횡단 가설교량 현장 거더 설치가 용이하고 연결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속도가 빠름

구간내에 다양한 하중조건이 요구되는 공사용 가설교량 용도에 따라 파일(H-pile, 강관)이나 복공판(연속, 일반) 선택적 적용 가능

공법 비교표

구분 T.R.M 공법 재래식 공법
공법개요

L형 형강재를 이용, 주형거더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를 유지함으로서
거더의 성능을 개선한 장지간 가설교량 공법

모멘트 분포에 맞게 선택적으로 단면의 강성 보강, 부재의 효율성을 높임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가시설

강재 I-Beam을 주부재로하고 그 위에 H-Beam을 배치하여
복공판 및 횡부재를 설치 후 사용

지간장 20m~40m 10m~15m
일반적 특징 장점

프리스트레싱이 거더 내부에서 이뤄져 형하공간 및 통수단면적 확보에 유리

강성증대로 강재량 절감 및 경제성 우수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30m이상 장지간 가능

보편화된 자재사용으로 자재 조달이 용이

기존에 많이 사용

구조가 간단 / 시공성이 양호

단점

단면 보강재 용업부 비파괴검사 필요

제작시 프리스트레싱 도입을 위한 공장 시설 필요

PILE(기둥)이 많아 공기 및 공사비 과다

공사 장기간 소요

미관이 수려치 못함

강재량이 많아 경제성 불리

통수단면적 확보 불리

시공실적

인천남향 북층교량

관동별곡 800리 역사체험탐방로 조성사업

장안~온산2 국도건설공사

금양~대양(공단교) 건설공사 외 다수

특허 10-1120163호

시공실적 다수

등록사항

특허 10-1120163호